ESTJ 특징, 효율을 극도로 중시하는 엣티제, 워커홀릭 ESTJ 가 꼰대처럼 느껴지는 이유

ESTJ 특징 중 가장 흥미로운 부분은 워커홀릭이라는 점입니다. 때로는 젊은 꼰대로 여겨지기도 하는데 나이에 비해 지나치게 어른스러운 면이 있기 때문입니다. 가끔씩 이들은 노는 것조차도 일하는 것처럼 느껴질 때가 많습니다. 일 뿐만 아니라 사랑에 있어서도 열정적인 엣티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ESTJ

ESTJ 유형은 전 세계적으로 9%를 차지하며 남성은 11%, 여성은 6%로 남자가 여자보다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유형입니다. 흔히 짭비티아이로 불리는 16Personalities 무료 성격 유형 검사에 따르면 한국인의 4.56%(11위)에 해당됩니다.

또한 둔감형(Assertive)이 61%로, 민감형(Turbulent) 39% 보다 많은 몇 안되는 MBTI 유형 중 하나 입니다. ESTJ-a 는 담즙질(EA)의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자신감이 넘치고 낙관적이며 대담한 편에 속합니다. 이들이 경영진이나 리더로써 활동하는 사람이 많은 이유 중 하나가 이런 점에서 나타나는 것 같습니다.

ESTJ 특징 개요

ESTJ는 외향(E) – 감각(S) – 사고(T) – 판단(J) 4가지 알파벳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알파벳의 기능들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조합이 해당 MBTI의 특징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각각의 알파벳의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를 아는 것이 MBTI 유형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ESTJ-특징-엣티제-특징-선호-지표-기능-서열-주기능-부기능-3차기능-열등기능

주기능: 외향사고(Te)

ESTJ 성격은 주기능인 외향사고를 바탕으로 정답을 찾고자 하는 열망을 가지고 있습니다. 엣티제가 워커홀릭이 되는 이유 중 하나는 목표를 뚜렷하게 설정하고 일을 체계적으로 진행하여 원하는 성과를 내는 것이 이들에게 가장 큰 기쁨이 되기 때문입니다.

완벽주의 성향을 가진 ISTJ 유형도 일에 빠져 살지만, 엣티제가 더욱 워커홀릭인 이유는 ISTJ 는 일과 휴식이 분리되어 있어 성과를 내는 것에 기쁨을 느끼는 것보다는 본인이 완벽하게 해냈다는 사실 그 자체가 기쁨인 경우가 많은 반면에 엣티제는 성과가 가장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ESTJ 는 본인이 일에 빠지고 잘 해내는 능력이 있지만 한편으로는 일을 시키는 것도 잘하기 때문에 조직의 관리자가 될 확률이 높습니다.

엣티제는 목표지향적인 성향이 강하여 본인이 이루고자 하는 바를 위해 때로는 주변 사람들에게 지시를 하기도 하는데 엣티제가 상사로 있는 부서의 일원들은 일감이 너무 많이 생긴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부기능: 내향감각(Si)

ESTJ 는 현실적이고 전통적이어서 기존 체계를 벗어나 일을 대책 없이 벌이지는 않습니다. 큰 그림을 그리며 체계를 전복하고 일을 벌이는 스타일인 ENTJ와는 비슷하면서도 다른 점이 많습니다.

이 두 유형 모두 타고난 리더로서 성장할 가능성이 크지만 이러한 특성 차이 때문에 엣티제는 조직에서 인정받는 리더가, 엣티제는 사회에서 인정받는 리더로 성장할 가능성이 큽니다.

3차 기능: 외향직관(Ne)

ESTJ 는 상상력과 개방적 사고와는 다소 거리가 멀 수 있습니다. 이들은 주기능과 부기능이 먼저 강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3차 기능인 외향직관이 개입될 여지가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일이 90% 정도 진행되었을 때 마지막 검토 과정에서 직관이 아주 약간 개입될 뿐 사실상 거의 반영이 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열등 기능: 내향감정(Fi)

엣티제는 타인에 대한 배려가 다소 부족하고 무심한 면이 있습니다. 엣티제는 스스로를 끊임없이 엄격하게 통제하며 노력하는데, 타인은 그렇지 못한 모습들을 보면 이해를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ET 성향 상 이런 생각을 겉으로 드러내어 잔소리를 많이 하는 것일 수 있습니다.

엣티제 특징 분석

자기확신이 강하며 성과가 없으면 현타를 느낀다

ESTJ 는 담즙질(EA) 성향으로 항상 자신감이 넘치며 낙관적이고 대담한 유형입니다. 이들이 일을 벌일 때에는 모든 것이 잘 풀릴 것이라는 자신감에 차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로 그 일을 성공으로 이끌기 위하여 엣티제는 목표를 정확히 세우고 계획에 따라 척척 진행하기 때문에 근거 없는 자신감은 아닌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일이라는 것이 변수가 많기 때문에 본인이 세운 목표에 부합하지 못하고 흐지부지 끝나는 경우가 있기 마련입니다. 일을 이것저것 벌여 놓긴 했는데 수습이 안되거나 원하는 성과를 얻지 못했을 때 ESTJ 는 굉장한 허탈감과 현타를 느끼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는 오히려 동기 부여가 되어 엣티제를 더욱 성장시키는 계기가 되기도 합니다.

건강하지 못한 엣티제는 이런 경우 일을 해내지 못한 원인을 주변 환경이나 타인에게서 찾으려고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같이 일을 진행한 구성원에게 잘못을 지적하거나 잔소리를 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자칫하면 꼰대 소리를 들을 수도 있습니다.

공격적인 성향이 드러나기도 한다

ET 특유의 직설적인 면 때문에 주변 사람들은 엣티제를 공격적인 사람으로 생각하기 쉽습니다. 같은 ET 유형인 ENTP에 비하면 나름 현실적이고 계획적인 면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것이 엔팁에 비해 덜 한 편이긴 하지만 주변에서는 꼰대 소리를 들을 확률이 높습니다.

ESTJ 가 싫어하는 말은 ‘그냥, 적당히, 대충’ 입니다. 엣티제는 그냥 적당히 대충 할거면 안 하는 스타일이기 때문에 이런 말을 달고 사는 사람들의 모습에 경멸을 느끼기도 합니다.

그저 주변인이라면 대충 리액션 해주고 넘기겠지만 같이 일을 해야 하는 사람이거나 가까운 지인이라면, 이러한 말을 들은 엣티제는 돌직구로 잔소리를 하게 되고 이는 사람들로 하여금 엣티제가 공격적이고 무례하다고 생각이 들게 할 수 있습니다.

효율을 극도로 중시한다

ESTJ 는 효율이 모든 행동의 모토가 될 정도로 효율성을 중시합니다. 특히 시간 대비 효율성을 따지는 편입니다. 운동하면서 오디오 북을 듣거나 최적의 경로와 동선을 파악하거나 하는 등 같은 시간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활용하려고 합니다.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엣티제이기 때문에 항상 바쁘며 늘 시간이 없는 것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ESTJ 연애 스타일은 보통 일과 사랑에 둘 다 열정적인 편이지만, 가끔은 본인 일이 우선인 경우 연인에게 다소 소홀한 면이 있을 수 있습니다.

타인으로부터 인정받는 것이 중요하다

ESTJ 는 일 자체에 보람을 느끼고 빠지는 스타일이기도 하지만 성과를 통해 타인의 인정을 받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ISTJ 가 일을 성공적으로 처리해 낸 본인에 대해 뿌듯함과 대견함을 느끼고 마는 반면에, 엣티제는 타인의 인정이 있어야만 마침내 성공의 마침표를 찍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타인에게 인정 받을 일이 없는 행동이나 본인 스스로의 만족감으로 끝나는 일은 하지 않는 편입니다. 연애에 있어서도 내면에서 상대를 고려해서 행동하는 것보다는 연인이나 주변인들의 평가를 신경 써서 행동하는 경우도 종종 나타나기도 합니다.

마치며

MBTI 의 성격 유형에는 그저 각각의 장점과 단점이 존재 할 뿐 좋고 나쁨이 없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본인의 유형과 타인의 유형에 대한 이해를 통해 서로를 이해하는 것이 MBTI의 본질이라고 생각합니다.

지피지기면 백전백승이라는 말이 있듯이 우선 타인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인 스스로의 성격을 먼저 파악하는 것이 우선 시 되어야 합니다.

인터넷에서 쉽게 할 수 있는 16Personalities 무료 성격 유형 검사도 나름 신뢰성과 타당성이 높은 검사입니다. 하지만 정말로 깊이 있게 본인의 성격에 대해서 파악하고자 하신다면 MBTI 고급형 정식 검사와 상담을 받아보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