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TP 잇팁 특징: MBTI 유형 중 가장 개인주의 성향이 강한 유형
개인주의 성향이 가장 강하고 논리적 사고와 효율성을 중시하는 ISTP
사고(T)가 주기능인 ISTP 는 매우 논리적이고 분석적이며, 특히 남한테 관심이 없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입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개인주의자 성향이 가장 강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이외의 면이 많은 재밌는 유형입니다. 모든지 귀찮아하고 눈에 안 띄는 스타일인데 뭔가 하나를 굉장히 잘해서 인기가 많은 경우가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손재주가 좋아 뭔가를 고치는데에도 소질이 있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MBTI 유형 중 남성이 압도적으로 많은 유형
특히 ISTP 유형은 여자보다는 남자한테서 많은 유형입니다. 세계적으로는 9%의 남성이 잇팁이라 하고 2%의 여성만이 잇팁이라고 합니다. 성별에 따라 가장 차이나는 지표가 T F 유형인데, 남성은 T:F가 6:4, 여성은 그 반대라는 얘기가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특히 한국에서 T 성향의 여성은 여자보다는 남자와 친한 이유가 아닐까 싶습니다.
SP 특징으로 보는 귀치나스트 잇팁
SP유형은 ESTP 글에서도 언급한 것처럼 쾌락주의적 성향이 있습니다. 잇팁도 예외는 아닌데, 이게 I 내향성과 결합되면서 타인에게 관심이 없는 편입니다. 그러다보니 개인주의적 성향이 드러나면서, 귀차니즘 성향이 한층 강해집니다. 게으름도 원초적인 쾌락의 감각 중 하나기 때문입니다.
NP유형보다 SP 유형이 더 게으른 이유는 S는 N보다 생각이 적은 편이기 때문인데요. NP 유형은 몸은 게으르지만 무언가를 계속 생각하는 반면, SP유형은 몸도 생각도 게으른 편 입니다.
그래서 나오는 행동 중 하나가 마감시간에 임박해서 뭔가를 끝내려는 성향이 강하다는 점 입니다. 예를 들면 벼락치기를 한다거나, 휴대폰 배터리가 0%가 다되어 갈 때까지 충전을 안 한다거나 하는 것입니다. 이런 위기 상황을 극복했을 때 모종의 쾌감을 얻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이러한 점들 때문에 잇팁은 ISFP 유형과 가장 비슷하다고 생각하는데요. 다만 두 유형이 다른 점 중 하나는 바로 ISTP 유형은 효율성을 중시해서 노력 대비 성과가 만족스럽지 않으면 뭔가 손해 본 듯한 느낌을 가진다는 점입니다.
IP 지표와 T가 결합되어 나타나는 혼자 놀기의 달인 ISTP
IP유형은 혼자서 노는 것을 좋아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F는 관계지향적인 반면 T는 독립지향적이기 때문에 INTP, ISTP 이 두 유형이 혼자 놀기의 달인 유형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 중에서도 ISTP가 혼자 놀기의 최고봉인 이유는 INTP 인팁의 경우 호기심이 강해서 뭔가 계속 알고자 하는 것이 있습니다. 그래서 겉보기에는 이게 노는게 맞나 싶은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잇팁의 경우는 게임이든 익스트림 스포츠든 그 자체가 재밌어서 빠지게 되는 유형으로 장인 기질은 본인의 흥미에 의해 나타난다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