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폰을 쓰다 보면 업무용 번호를 따로 분리해서 쓰고 싶은 경우가 많이 있는데요. 이럴 때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 바로 eSIM을 이용한 듀얼심을 활용하는 것입니다. 일본여행 등 해외여행을 갈 때 데이터 로밍용으로도 활용하는 E심 사용법 및 장단점, 개통 설치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eSIM은 무엇일까?
보통 유심칩이라고 하면 외장메모리카드(Micro SD)처럼 휴대폰 외부에서 탈부착하는 방식으로 끼는 USIM을 생각하실텐데요. e심(eSIM)은 Embedded SIM의 약자로,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유심칩이 휴대폰 자체에 장착되어 있는 디지털 SIM을 뜻합니다. 요즘 나오는 최신 핸드폰의 경우 기존 USIM에 e심이 같이 탑재되어 듀얼SIM으로 출시되고 있습니다.
eSIM의 장점은 무엇일까?
eSIM은 휴대폰 내부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로 SIM카드를 구매하여 장착할 필요가 없는 것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 즉 핸드폰에서 일정 작업(QR코드 스캔 등)을 한 후 1시간 내로 바로 개통 및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편리합니다.
앞서 말씀 드렸듯이 요즘은 듀얼SIM으로 나오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하나의 휴대폰에 2개의 휴대폰 번호를 사용할 수 있어 사적인 용도의 번호와 업무용 번호 등으로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데요.
특히나 해외여행을 갈 때 로밍 대용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통화와 메시지는 기존 USIM을 사용하고, 해외 데이터는 전용 eSIM으로 설정하여 사용 할 수 있다는 장점이 가장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eSIM의 단점은 무엇일까?
사실 앞서 말한 듀얼SIM으로써의 eSIM의 장점은 말그대로 듀얼심의 장점일 뿐 eSIM 자체의 장점은 아닙니다. 최초 개통 시 별도의 실물 USIM 배송을 기다릴 필요가 없다는 점 말고는 사실 큰 장점은 없습니다. 오히려 단점이 더 많은 편에 속하는데요.
만약 eSIM을 설치했던 경우에 기기를 변경하려고 할 때, 유심칩(물리칩)의 경우 그냥 빼서 바꾼 기기에 꽂으면 바로 사용 가능하지만, e심의 경우에는 통신사를 꼭 거쳐야 한다는 큰 단점이 있습니다. 현재의 상황에서는 기기 변경으로 인한 SIM 변경 시 이동하는 절차와 통신사의 허가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또한 일부 통신사의 경우 eSIM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LTE 요금제 이상을 강제하며 1년 이상의 약정을 요구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한 기기 변경 시마다 매번 2,750원의 다운로드 수수료를 지불해야 하는 것도 단점입니다.
마지막으로 현재 한국에서는 e심을 개통하기 위해서는 단말기식별번호(IMEI1, IMEI2)를 제출하기 때문에 e심과 같이 사용하는 USIM의 명의가 다를 경우 회신이 정지되는 큰 단점도 존재하는데요. 별 생각 없이 잠깐이라도 다른 명의의 USIM칩을 끼우기만 해도 정지되는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e심 기능의 존재로 듀얼심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은 무시할 수가 없는데요. 많은 분들이 투번호를 사용하거나 일본여행을 갈 때 데이터 로밍용으로 e심을 애용하고 있다고 하니 아래에서 사용 방법에 대해 더 알아보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esim 가능 단말기 확인하는 방법
우선 사용하고 계신 휴대폰 단말기의 키패드에서 *#06# 다이얼을 입력하면 IMEI1, IMEI2, EID가 뜨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IMEI [slot 0] null로 뜨는 경우 지원되지 않는 단말기오니 제조사별 E심 지원 단말기는 아래 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삼성 갤럭시 e심 지원 모델
eSIM 서비스가 가능한 삼성 갤럭시 시리즈 휴대폰 제조 모델은 갤럭시 폴더4, 갤럭시 Z플립4 이후 출시된 모델로 S23 시리즈, S24 시리즈가 포함됩니다.
갤럭시 S 시리즈 | 갤럭시 S23, S23+, S23 Ultra, 갤럭시 S24, S24+, S24 Ultra |
갤럭시 Z 시리즈 | 갤럭시 Z 폴드4, Z 플립4, 갤럭시 Z 폴드5, Z 플립5 |
갤럭시 탭 S 시리즈 | 갤럭시 탭 S9, 탭 S9+, 탭 S9 Ultra, 갤럭시 탭 S10, 탭 S10+, 탭 S10 Ultra |
기타 | 갤럭시 퀀텀 4 |
애플 아이폰 e심 지원 모델
eSIM 서비스가 가능한 애플 휴대폰 제조 모델은 아이폰 XS, 아이폰 XS Max, 아이폰 XR 이후 출시된 모델로 iPhone11 시리즈, iPhone SE(2세대)가 포함됩니다.
iPhone | iPhone XR, iPhone XS, iPhone XS Max 및 이후 모델 |
iPad | iPad Pro(11형), iPad Pro(12.9형)(3세대) 및 이후 모델 iPad Air(3세대) 및 이후 모델 iPad mini(5세대) 및 이후 모델 iPad(7세대) 및 이후 모델 |
E심 개통 및 활성화 방법
e심을 이용하려면 일단 개통을 하고 활성화를 시켜주어야 하는데요. 원하는 통신사와 요금제를 선택한 후 결제를 하게 되면, 이메일이나 문자로 통신사 QR코드가 발송되는 데 이것을 스캔하여 사용하는 폰에 등록을 해주어야 합니다.
삼성 핸드폰의 경우 설정 > 연결> SIM카드 관리자> 모바일 요금제 추가> 통신사 QR코드 스캔 순으로 진행해주시면 됩니다. 아이폰(ios)의 경우 삼성보다는 다소 설치가 복잡하니 아래의 영상을 참고하여 설치 및 개통하여 활성화 해주시면 됩니다.
마치며
이상으로 듀얼심으로 2개의 회선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eSIM 은 무엇인지, 장점 및 단점과 e심 지원 단말기 및 개통 설치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보통 e심을 사용하는 경우 요금제는 알뜰폰 요금제를 활용하는 경우가 많으니 아래의 해당 되는 통신사 망을 사용하는 알뜰폰 요금제 추천 글들도 읽어보시기를 추천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