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급여는 매년 초에 정부의 급여 인상안에 따라 호봉에 따른 급여가 책정되어 각종 수당 금액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5년 교사 호봉표 및 그에 따른 정근수당, 설날 및 추석 명절 수당에 대해서 정말 보기 좋게 정리하였으니 꼭 끝까지 읽으시고 원하시는 정보를 찾으시기 바랍니다.
2025년 교사 호봉표 및 임금인상률
2025년 교사 호봉표가 2025년 1월 3일 자로 개정되었습니다. 아시다시피 유치원 교사 / 초등학교 교사 / 중학교 교사 / 고등학교 교원 등은 일반 공무원과 달리 직급 대신 호봉으로만 기본 봉급이 책정되어 받는 월급이 정해집니다.
본 포스팅은 교육공무원이나 일반적으로 교사라 부르는 유치원/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 교원 등의 호봉표를 다루었으며, 교육행정직 호봉표는 아래 일반직 공무원 호봉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아무튼 이 호봉에 따른 기본 봉급이 정해지게 되고, 설날이나 추석 같은 명절휴가비나 정근수당은 호봉에 따라 지급 금액이 다르기 때문에 교사 호봉표를 또 잘 살펴서 계산해야 하는데요.
올해 공무원 보수규정 개정의 특징을 먼저 살펴보면, 우선 전체적인 공무원 보수 인상률이 공통적으로 3.0%입니다. 물가상승률에 비하면 별로 올랐다고 하기엔 그렇지만 그래도 작년에 비해서는 많이 오른 편이죠.
위는 올해 개정된 2025년 교사 호봉표(유치원/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 교원 등) 이미지이며, 아래 각 호봉별로 정근수당과 명절휴가비를 정리하였기 때문에 단순히 호봉표 이미지만 보지 마시고 끝까지 읽어보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2025년 교사 정근수당/정근수당가산금 표
우선 2025년부터는 저연차 공무원인 4년 미만 근무연수를 가진 분들의 정근수당이 인상되었습니다. 기존 0~15%를 받던 1년 미만 ~ 4년 미만 공무원들의 실질적인 보수가 더 인상되었다고 볼 수 있는데요.
근무연수 | 변경전 지급액 (월 봉급액의 %) | 변경후 지급액 (월 봉급액의 %) | 정근수당 가산금 |
1년 미만 | 10% | 미지급 | |
2년 미만 | 10% | 30,000원 | |
3년 미만 | 20% | 30,000원 | |
4년 미만 | 20% | 30,000원 | |
5년 미만 | 20% | 20% | 30,000원 |
6년 미만 | 25% | 25% | 50,000원 |
7년 미만 | 30% | 30% | 50,000원 |
8년 미만 | 35% | 35% | 50,000원 |
9년 미만 | 40% | 40% | 50,000원 |
10년 미만 | 45% | 45% | 50,000원 |
10년 이상 15년 미만 | 50% | 50% | 60,000원 |
15년 이상 20년 미만 | 50% | 50% | 80,000원 |
20년 이상 | 50% | 50% | 100,000원 |
따라서 초임 교사분들도 올해부터는 적지만 그래도 꽤 쏠쏠하게 정근수당과 정근수당 가산금을 챙겨갈 수 있으니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거 같습니다.
아래는 유치원/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 교원 등 교사의 2025년 호봉표에 따른 정근수당과 명절상여금(설날/추석 60%씩)을 정리하여 직접 표로 만들었으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2025년 교사 호봉표, 정근수당, 명절휴가비(~20호봉)
호봉 | 봉급 | 정근수당 | 명절상여금 | 호봉 | 봉급 | 정근수당 | 명절상여금 |
1 | 1,915,100 | 1,149,060 | 11 | 2,408,300 | 481,660 | 1,444,980 | |
2 | 1,973,100 | 1,183,860 | 12 | 2,455,700 | 491,140 | 1,473,420 | |
3 | 2,031,900 | 1,219,140 | 13 | 2,567,600 | 513,520 | 1,540,560 | |
4 | 2,090,500 | 1,254,300 | 14 | 2,679,900 | 669,975 | 1,607,940 | |
5 | 2,149,600 | 1,289,760 | 15 | 2,792,000 | 837,600 | 1,675,200 | |
6 | 2,208,600 | 1,325,160 | 16 | 2,904,500 | 1,016,575 | 1,742,700 | |
7 | 2,267,000 | 1,360,200 | 17 | 3,015,500 | 1,206,200 | 1,809,300 | |
8 | 2,325,100 | 1,395,060 | 18 | 3,131,900 | 1,409,355 | 1,879,140 | |
9 | 2,365,500 | 236,550 | 1,419,300 | 19 | 3,247,500 | 1,623,750 | 1,948,500 |
10 | 2,387,800 | 238,780 | 1,432,680 | 20 | 3,363,300 | 1,681,650 | 2,017,980 |
※ 근무연수 1년 미만인 교사가 9호봉일 때 기준으로 정근수당 산정
※ 공무원 정근수당 가산금은 계산에 고려하지 않음
교육공무원 중 교사의 경우 초임 때 9호봉부터 시작하기 때문에 9호봉 때부터 근속년수 1년 미만으로 계산한 표입니다.
참고로 정근수당 가산금은 고려하지 않았으며, 기존 직장 경력 인정이나 남자의 경우 군대로 인해 호봉을 더 높게 시작하는 경우 정근수당은 달라질 수 있으니 참고하시고 보시면 될 거 같습니다.
9호봉으로 시작한 초임 교사는 236,550원의 정근수당과 1,419,300원의 명절 휴가비를 받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처음으로 정근수당을 풀(50%)로 받을 수 있는 근속년수 10년 이상은 19호봉으로 정근수당이 1,623,750원이며, 명절 휴가비는 1,948,500원입니다.
매년 1월과 7월에 지급되는 정근수당과 정근수당가산금, 그리고 설날과 추석에 지급되는 명절수당까지 합치면 꽤 나쁘지 않습니다.
2025년 교사 호봉표, 정근수당, 명절휴가비(~40호봉)
호봉 | 봉급 | 정근수당 | 명절상여금 | 호봉 | 봉급 | 정근수당 | 명절상여금 |
21 | 3,478,900 | 1,739,450 | 2,087,340 | 31 | 4,803,000 | 2,401,500 | 2,881,800 |
22 | 3,607,300 | 1,803,650 | 2,164,380 | 32 | 4,942,200 | 2,471,100 | 2,965,320 |
23 | 3,734,600 | 1,867,300 | 2,240,760 | 33 | 5,083,700 | 2,541,850 | 3,050,220 |
24 | 3,862,300 | 1,931,150 | 2,317,380 | 34 | 5,224,600 | 2,612,300 | 3,134,760 |
25 | 3,989,800 | 1,994,900 | 2,393,880 | 35 | 5,365,800 | 2,682,900 | 3,219,480 |
26 | 4,117,800 | 2,058,900 | 2,470,680 | 36 | 5,506,400 | 2,753,200 | 3,303,840 |
27 | 4,251,300 | 2,125,650 | 2,550,780 | 37 | 5,628,700 | 2,814,350 | 3,377,220 |
28 | 4,384,500 | 2,192,250 | 2,630,700 | 38 | 5,751,200 | 2,875,600 | 3,450,720 |
29 | 4,523,800 | 2,261,900 | 2,714,280 | 39 | 5,873,900 | 2,936,950 | 3,524,340 |
30 | 4,663,600 | 2,331,800 | 2,798,160 | 40 | 5,995,800 | 2,997,900 | 3,597,480 |
※ 공무원 정근수당 가산금은 계산에 고려하지 않음
마지막으로 정근수당도 50% 풀로 받는 21호봉 근무 교사 기준으로 2025년 1월에는 설날 명절휴가비에 정근수당까지 합해서 봉급의 110%를 추가로 받아 총 7,305,690원이 1월 급여명세서에 찍히게 될 것입니다.
이렇게 처음 저연차 교육공무원 시기를 이겨내고 나면 호봉 상승에 따른 급여도 꽤 늘고, 정근수당에 명절수당까지 합치면 금액이 크기 때문에 저연차 교사분들은 끝까지 버티고 다녀 보시는 것은 어떨까 생각이 듭니다.
마치며
이상으로 교육공무원인 2025년 교사 호봉표 및 정근수당, 추석/설날 명절수당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개인적으로 초반 10년 정도만 버티면 여러가지 수당으로 인해 나름 살만한 수준으로는 버는 게 공무원인 것 같다는 생각이 있습니다.
최근에는 정부에서 저연차 MZ공무원들의 이탈을 막기 위해 보수 수준을 계속 올리려고 하고 있기 때문에 꾹 참고 다니시는 것을 추천 드리며 사이트 내 다른 유용한 정보들도 읽어보시기를 추천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