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촉증명서 뜻과 발급 방법(해촉증명서 양식 첨부), 프리랜서 건강보험료, 국민연금을 덜 내려면 필수!

프리랜서라면 부담스러워 할 건강보험료, 특히 작년에 일시적으로 소득이 높았던 경우 올해 부담할 건강보험료가 너무 많아서 고민이실텐데요. 특히 사업장에 속해 있지 않은 프리랜서 분들이라면 퇴직증명서 대신 해촉증명서라는 서류를 건강보험공단에 제출해야 건강보험료를 과하게 내지 않을 수가 있습니다.

해촉증명서란 무엇일까?

우선 ‘해촉’이라는 단어 자체는 ‘어떤 맡긴 일을 그만두게 한다’라는 의미인데요. 결국 해촉증명서는 ‘맡긴 일이 종료되어 이를 증명하는 서류‘로, 현재 해당 사업체에 속해 일하고 있다는 증명인 재직증명서의 반대말이자 퇴직증명서(고용보험에 가입한 경우)와 유사한 의미의 서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즉 고용보험에 가입하지 않고 해당 사업체의 일을 처리한 계약직 근로자나 프리랜서의 경우 계약이 종료 돼서 더 이상 해당 사업체로부터 발생하는 지속적인 소득이 없음을 증명하기 위해 발급하는 서류라고 할 수 있겠는데요. 이 해촉 증명서가 필요한 이유 중 가장 큰 이유는 바로 건강보험료 및 국민연금 때문입니다.

건강보험료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는 필수

아시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건강보험료와 국민연금은 크게 직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로 구분되어 납부하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고용보험에 가입하여 일하는 근로자나 신분상 고용보험에 가입하지 않는 공무원, 간호사 등은 직장가입자로 회사와 근로자가 건강보험료와 국민연금을 절반 씩 부담하게 됩니다.

하지만 고용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계약직, 일용직 근로자나 회사에 속하지 않는 프리랜서 등의 경우에는 지역가입자로 전액을 부담하게 되는데요. 국민연금이야 나중에 노후를 위해 그냥 부담할 수도 있지만 건강보험료는 그렇지 않은데요.

특히 작년 소득을 기준으로 올해 납부할 건강보험료가 결정되는 것이기 때문에, 작년에 일시적으로 일이 많아 건강보험료가 높게 결정되었다면 올해 납부할 보험료가 굉장히 부담스러운 것이 현실입니다. 특히 소득이 불안정한 프리랜서분들이라면 더욱 그러겠죠.

따라서 작년의 일시적인 소득이 올해에도 이어질 거라는 보장이 없기 때문에, 이를 해촉증명서로 증명하여 건강보험공단에 제출하여 건강보험료 조정을 받아야 하는 것입니다. 국민연금도 마찬가지구요.

해촉증명서 발급 받는 방법

그렇다면 해촉증명서를 발급 받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당연히 일했던 회사의 담당자분께 연락하여 요청해서 받아야 하는데요. 사실 해촉증명서 발급은 법적으로 의무사항은 아니기 때문에 회사 입장에서는 귀찮은 일입니다.

따라서 계약이 종료된 지 좀 오래된 경우라면 담당자가 귀찮아 할 수도 있고, 작은 사업체의 경우에는 해촉 증명서 자체를 모르고 있는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해촉증명서 양식을 다운 받아 내용을 일부 기재한 뒤에 담당자에게 주신 후 나머지 부분을 채워 달라 요청 후 사업장 대표 인(도장)을 받으시면 됩니다.

하지만 프리랜서라면 이렇게 계약이 종료된 사업체가 여러 개인 경우가 많을텐데요. 이미 계약이 종료된 사업체에 연락하는 것이 사실 좀 번거롭기도 하고 민망하기도 하죠. 따라서 앞으로는 계약 종료 전에 미리미리 담당자분께 말씀드려서 마지막 날에 받아 두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해촉증명서 양식 다운 받기

해촉 증명서의 양식은 각 회사마다 다른데요. 대체적으로 발급 요청자의 성명, 주민등록번호, 근무기간(입사일, 퇴사일), 근무 내용, 발급 용도가 기재되어 있으며, 발급하는 회사의 회사명, 사업자 번호, 주소, 대표자명과 사업장 대표 인(도장)이 찍혀 있어야 합니다.

해촉증명서-양식_건강보험공단_국민연금공단_제출용
해촉증명서 양식

아래 링크를 통해 바로 파일을 다운 받으실 수 있습니다.
해촉증명서 양식_건강보험공단_제출용.hwp

양식을 다운 받아 성명, 주민등록번호, 용도를 작성하신 후 담당자 분께 전달하시면 되며, 국민연금 및 건강보험료 조정 신청 후, 발급된 서류를 국민건강보험공단 및 국민연금공단 앱에서 웹FAX로 제출하거나, 본사 및 지점에 직접 방문 제출, 지점에 FAX로 제출하시면 끝입니다.

지역 건강보험 조정 제도 알아보기

혹시 모르니 FAX 제출 후 10분 뒤에 해당 지사에 전화하여 서류가 잘 접수되었는지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마치며

이상으로 해촉증명서 발급 이유와 발급 방법과 양식에 대해서 소개하였습니다. 직장을 다니다가 프리랜서로 근무하게 되면서 직면하게 될 걸림돌인 건강보험료와 국민연금 부담을 조금이나마 줄이는 데에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