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청년 실업이 큰 이슈가 되면서 프리터족과 캥거루족 그리고 니트족에 대한 언급이 많아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각 단어가 뜻하는 의미가 무엇인지와 유래에 대해서 알아보고 각 단어의 차이에 대해서 이해하는 시간을 가져볼까 합니다.
프리터족 뜻과 유래
프리터족은 자유를 뜻하는 프리(Free)와 아르바이터(Arbeiter)의 합성어로, 일본에서 일어난 사회적 현상에서 유래한 단어입니다. 즉 정규직의 일자리를 포기하고 단기 혹은 중장기 알바(아르바이트)만 하면서 생계를 이어가는 젊은 청년층을 말합니다.
프리터족은 일본 경제 불황기인 1987년에 일본의 고용정보회사인 리크루트라는 회사가 만든 영화 타이틀로 이 단어를 사용하면서 유행하였는데요. 일본 청년들이 경제 불황기에 고용 불안을 겪으면서 미래를 포기하고 현재만을 살아가는 데 관심을 쏟는 사회 현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한국에서 청년 실업이 많아지면서 프리터족이 많이 생겨나고 있는데요. 양질의 정규직 일자리를 구하는 것이 어려워지면서 취업을 포기하고 간신히 생계 유지를 위해 단기간 아르바이트를 하는 청년들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미래보다는 현재를 중시하기 때문에 사회생활로 인한 스트레스를 기피하여 정규직의 일자리보다는 아르바이트를 선호하는데요. 특정 직업에 대한 열망이나 명예 혹은 부에 대해서 욕심이 없는 것이 특징입니다.
또한 혼자 있는 것을 선호하고 여행 등 취미 생활에 시간을 쓰는 것을 추구하며 본인이 원하는 삶을 사는 것을 가장 중시 합니다. 따라서 최소한의 비용만 알바로 돈을 벌어 생계를 유지하고 현재 본인이 하고 싶은 일들을 하려고 하는 것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캥거루족 뜻과 유래
프리터족과 비슷하면서도 본질적으로 다른 것이 바로 캥거루족인데요. 캥거루족은 마치 새끼 캥거루가 어미 캥거루 주머니에서 보호 받으며 생활하는 것처럼 성인이 되어 자립할 시기가 되었음에도 자립할 의지가 없거나 경제적 여유가 없어 부모 집에 동거하며 부모의 경제력에 의존하면서 살아가는 사람들을 뜻합니다.
자립의 의지 정도에 따라 프리터족이면서 캥거루족인 사람들도 있는데요. 본인이 하고 싶은 취미나 문화생활을 위해 아르바이트를 하며 돈을 벌기도 하지만 그 외 나머지 부분(주거 등)에 대해서는 부모님께 손을 벌리는 것 입니다.
2024년 6월에 열린 학술회에 따르면, 청년의 약 66%가 캥거루족(2020년 기준)이라고 하는데요. 그만큼 아직 자립할 준비가 되지 않았거나, 정규직 일자리가 아니어서 주거 문제가 쉽지 않는 청년 등이 많은 것 같습니다. 물론 치솟는 집값도 한 몫을 한 것 같습니다.
통계청 2024년 8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구직 활동조차 하지 않는 ‘쉬었음’으로 응답한 청년들이 24만 5천명으로 비경제활동인구의 10.6%나 차지한다고 하는데요.
그만큼 아무것도 하지 않아도 당장의 생계 유지에 타격을 입지 않는, 즉 부모로부터 경제적인 지원을 받아 생계를 유지하려는 캥거루족도 늘어나는 반증이 될 수도 있겠습니다.
물론 부모의 능력이 너무 좋아 굳이 자립을 하지 않아도 평생 먹고 살 수 있는 캥거루족도 있겠지만, 대부분은 그렇지 않을 것 같습니다. 부모의 입장에서는 그래도 자식인데 손 벌리는 것에 대해서 어쩔 수 없어 지원 하는 부분도 크다고 생각 합니다.
니트족 뜻과 유래
니트족(NEET / Not in Education, Employment or Training)을 뜻하며, 직역하면 무직이면서 취업을 위한 어떤 교육과 훈련도 하지 않는 사람들을 일컫는 신조어입니다.
즉 근로능력은 있으나 그냥 지속적으로 쉬는 행위를 반복하는, 위에서 잠깐 언급한 구직활동을 포기한 쉬었음’ 청년들이 향후에 니트족이 될 확률이 매우 높은 것입니다.
위에서 소개한 3개의 단어는 서로 밀접한 관계를 띄는 것 같습니다. 캥거루족에서 시작하여 프리터족으로 넘어갔다가 결국은 어떤 교육이나 훈련도 하지 않는 구직활동을 단념한 니트족으로 변화하기도 합니다.
한 개인의 문제로 치부할 것이 아니라 사회적으로 발생할 수 밖에 없는 문제이기도 한데요. 양질의 일자리와 일하고 싶은 직장 문화, 미래가 그려지는 사회가 뚜렷해진다면 이들의 숫자는 감소 할 수 밖에 없습니다.
마치며
이상으로 청년 실업과 함께 늘어나는 프리터족 / 캥거루족 / 니트족의 뜻과 유래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바뀌어가는 젊은 세대들의 특징에 대해서 더 알고 싶으신 분은 아래의 글을 추가로 읽어보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