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소에 전통시장이나 농협을 자주 이용하시는 분들이라면 온누리상품권을 많이 사용하실 거 같습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온누리 상품권 지류형, 카드형, 모바일 할인 구매 한도 차이 등에 알아보고, 설날 및 추석 추가 할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온누리 상품권 지류형 할인, 구매한도
일단 온누리 상품권 지류형은 우리가 흔히 아는 종이로 인쇄된 실물 상품권입니다. 지류 온누리상품권에는 5천원건, 1만원건, 3만원건이 있는데요.
지류형 상품권은 개인 구매한도가 월 150만원이고, 기본적으로 5% 할인된 가격으로 구매가 가능합니다. 즉 10만원너치 상품권 구매 시 9만 5천원만 지불하면 살 수 있다는 것입니다.
보통 공무원은 복지포인트 등으로 온누리 상품권 의무 구매하게 되어 있는데, 할인 받아 구매 후 영수증을 첨부하지 않으면 복지포인트를 차감하여 정가로 강제 구매해서 나눠주기도 합니다.
온누리 상품권 모바일 할인, 구매한도
보통 온누리 상품권을 지류형만 있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지만 온라인에서도 사용할 수 있고 카드로도 사용이 가능한데요. 개인적으로 모바일이나 카드형 온누리상품권을 이용하길 권장드리는 이유는 할인율이 달라서 입니다.
온누리 모바일 같은 경우 전용 앱을 다운 받아 상품권을 충전하여 온라인 전용매장에서 물건을 구매 할 수 있는 서비스인데요. 중요한 건 5% 할인이 아닌 10% 할인이 기본으로 적용되며, 개인 구매한도도 월 200만원으로 50만원 더 높습니다.
게다가 설날이나 추석에는 지역소비 증진을 위해 추가로 5%를 특별 할인 판매하여 총 15%의 할인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아래에서 앱 다운 후 모바일이나 카드형 온누리상품권을 이용하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온누리상품권 카드형 할인, 구매한도
다음으로 소개해드릴 것은 카드형 온누리상품권으로, 모바일형과 같이 앱에서 기존에 쓰던 카드를 등록하여 충전 후 일반 카드 결제처럼 오프라인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입니다.
온누리상품권 카드형 사용 방법은 은행 계좌를 등록하여 앱에서 온누리 포인트를 충전하고, 충전된 금액을 등록한 카드로 전통시장 등 오프라인 매장에서 평소에 카드 쓰듯 결제하면 됩니다.
이 카드형이 또 좋은 게 모바일형과 같이 10% 기본 할인에 명절 추가 할인도 적용되고, 해당 카드사 카드 사용 실적이나 적립도 반영이 되며 전통시장 이용시 소득공제 혜택이 최대 40%가 자동 적용됩니다.
지류형 같은 경우 농협마트나 전통시장에 갈 때 별도로 상품권도 챙겨야 하고, 일일이 현금영수증을 발행해야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불편한데 카드형은 한번만 등록해 두면 편리 하기 때문에 강추합니다.
마치며
이상으로 온누리 상품권 지류형, 모바일형, 카드형 차이 및 구매한도와 할인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설 명절에는 결제 금액의 15%를 추가로 환급해주고 있다고 하니 참고하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
요즘 같이 고물가 시대에는 이런 정부에서 제공하는 혜택은 꼭 챙겨서 이용해야 조금이나마 생활비 안정에 도움이 되는 거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