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은 호봉제이기 때문에 호봉이 쌓일수록 연봉에 영향을 주는 각종 수당까지 합하면 그 금액이 꽤 되는데요. 매해 임금인상률에 따라 수당의 금액도 변하기 때문에 본 포스팅을 통해 각종 2025년 공무원 수당에 대해서 알아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2025년 공무원 봉급 인상에 따른 공무원 수당은?
2025년 공무원 임금인상률은 3.0%로 이에 따라 각종 수당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대표적인 공무원 수당인 시간외수당/야간수당/휴일수당/정근수당/명절휴가비에 대해서 일반직 공무원 기준으로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보다 구체적인 2025년 공무원 봉급표가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글을 통해 자세히 확인하실 수 있으니 먼저 확인 후 아래 글을 읽으시는 것도 괜찮기 때문에 추천 드립니다.
2025년 공무원 시간외수당
공무원 수당 중 하나인 시간외수당은 [기준 호봉 봉급액 X 55% X 1/209 X 150%]으로 계산 됩니다. 참고로 기준 호봉 봉급액은 각 직급별 10호봉에 해당하는 금액을 이야기 하며 해당 계산식으로 산정된 2025년 공무원 시간외수당을 아래 표와 같습니다.
구분 (1시간 당) | 5급 | 6급 | 7급 | 8급 | 9급 |
---|---|---|---|---|---|
2025년 | 15,510 | 13,229 | 11,950 | 10,729 | 10,579 |
2024년 | 15,059 | 12,844 | 11,602 | 10,416 | 9,860 |
2023년 | 14,692 | 12,531 | 11,319 | 10,162 | 9,620 |
2024년 대비 2025년 인상률 | 3.0% | 3.0% | 3.0% | 3.0% | 7.3% |
※ 일반직, 특정직, 별정직 공무원 기준
즉 2025년 공무원 시간외수당은 9급 10,030원 / 8급 10,760원 / 7급 11,985원 / 6급 13,268원 / 5급 15,435원으로 전년 대비 6급 이하는 대체로 3.0%가 인상되었다고 볼 수 있는데요.
하지만 9급 공무원 시간외수당은 7.3% 상승되었는데요. 시간외수당 계산식으로 계산해보았을 때는 9,698원이어야 하는데 10,579원인 것은 2024년 9급 시간외 수당인 9,860원을 기준으로 초임 공무원 인상분을 곱한 계산값으로 보입니다.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2025년부터 공무원 보수 3.0% 인상…저연차 공무원 지원도 강화
2025년 공무원 야간수당
공무원 수당 중 하나인 야간수당은 [기준 호봉 봉급액 X 55% X 1/209 X 50%]으로 계산 됩니다. 해당 계산식으로 산정된 2025년 공무원 야간수당을 구해보면 아래 표와 같습니다.
구분 (1시간 당) | 5급 | 6급 | 7급 | 8급 | 9급 |
---|---|---|---|---|---|
2025년 | 5,171 | 4,409 | 3,983 | 3,576 | 3,367 |
2024년 | 5,020 | 4,281 | 3,867 | 3,472 | 3,138 |
2023년 | 4,897 | 4,177 | 3,773 | 3,387 | 3,062 |
2024년 대비 2025년 인상률 | 3.0% | 3.0% | 3.0% | 3.0% | 7.3% |
※ 일반직, 특정직, 별정직 공무원 기준
즉 2025년 공무원 야간수당은 9급 3,232원 / 8급 3,576원 / 7급 3,983원 / 6급 4,409원 / 5급 5,171원으로 전년 대비 6급 이하는 시간외수당과 같이 3.0%가 인상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역시나 9급 공무원 야간수당 역시 7.3% 상승되었는데요. 야간수당 계산식으로 계산해보았을 때는 3% 인상인 3,232원이어야 하는데 3,367원인 것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25년 공무원 휴일수당
공무원 수당 중 하나인 휴일수당은 [기준 호봉 봉급액 X 55% X 1/26 X 150%]으로 계산 됩니다. 해당 계산식으로 산정된 2025년 공무원 휴일수당을 구해보면 아래 표와 같습니다.
구분 (1일 당) | 5급 | 6급 | 7급 | 8급 | 9급 |
---|---|---|---|---|---|
2025년 | 124,682 | 106,343 | 96,058 | 86,240 | 84,638 |
2024년 | 121,050 | 103,246 | 93,260 | 83,728 | 78,880 |
2023년 | 118,099 | 100,726 | 90,985 | 81,685 | 76,960 |
2024년 대비 2025년 인상률 | 3.0% | 3.0% | 3.0% | 3.0% | 7.3% |
※ 일반직, 특정직, 별정직 공무원 기준
즉 2025년 공무원 시간외수당은 9급 10,030원 / 8급 10,760원 / 7급 11,985원 / 6급 13,268원 / 5급 15,435원으로 전년 대비 6급 이하는 역시 시간외수당 같이 3.0%가 인상되었다고 볼 수 있는데요.
역시나 9급 공무원 휴일수당 역시 7.3% 상승되었는데요. 휴일수당 계산식으로 계산해보았을 때는 3% 인상인 81,246원이어야 하는데 84,638원인 것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25년 공무원 정근수당
2025년 공무원 정근수당은 저연차 공무원의 지급비율이 인상되었으며, 2024년부터는 4년 미만 저연차 공무원에게도 정근수당가산금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근무연수 | 변경전 지급액 (월 봉급액의 %) | 변경후 지급액 (월 봉급액의 %) | 정근수당 가산금 |
1년 미만 | 10% | 미지급 | |
2년 미만 | 10% | 30,000원 | |
3년 미만 | 20% | 30,000원 | |
4년 미만 | 20% | 30,000원 | |
5년 미만 | 20% | 20% | 30,000원 |
6년 미만 | 25% | 25% | 50,000원 |
7년 미만 | 30% | 30% | 50,000원 |
8년 미만 | 35% | 35% | 50,000원 |
9년 미만 | 40% | 40% | 50,000원 |
10년 미만 | 45% | 45% | 50,000원 |
10년 이상 15년 미만 | 50% | 50% | 60,000원 |
15년 이상 20년 미만 | 50% | 50% | 80,000원 |
20년 이상 | 50% | 50% | 100,000원 |
※ 군인의 정근수당 가산금은 별도 금액 지급으로 다루지 않음
해당 표는 각 근무연수에 따른 정근수당 지급비율과 정근수당 가산금을 나타낸 표로, 본인의 직급과 호봉에 해당하는 기본급에 곱해서 금액을 산정하면 됩니다. 2025년 4급~6급 / 7급~9급 공무원 호봉표에 따른 정근수당 금액은 아래 글을 통해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025년 공무원 설날 추석 명절수당
공무원 명절수당은 민족 대명절인 설날과 추석 이전에 지급되는데요. 명절휴가비는 기본급의 60%가 지급되기 때문에 일년에 기본급의 총 120%를 지급 받는다고 생각하시면 될 거 같습니다.
호봉 | 7급 ·3등급 | 8급 ·2등급 | 9급 ·1등급 |
1 | 1,304,160 | 1,216,920 | 1,200,540 |
2 | 1,342,260 | 1,240,560 | 1,210,200 |
3 | 1,384,500 | 1,267,500 | 1,223,700 |
4 | 1,431,300 | 1,297,860 | 1,240,980 |
5 | 1,488,180 | 1,337,100 | 1,262,400 |
6 | 1,555,140 | 1,398,780 | 1,288,080 |
7 | 1,622,460 | 1,460,640 | 1,318,380 |
8 | 1,690,320 | 1,520,220 | 1,372,440 |
9 | 1,754,820 | 1,576,980 | 1,424,160 |
10 | 1,816,380 | 1,630,740 | 1,474,020 |
위의 표에서는 7급이하 기준 호봉 기준인 10호봉까지만 나타냈으며, 그 이상의 호봉이나 직급에 대한 2025년 공무원 명절상여금 금액에 대해서 궁금하신 분은 아래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마치며
이상으로 2025년 공무원 수당 중 가장 대표적인 시간외수당/야간수당/휴일수당/정근수당/명절휴가비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그 외 직급보조비, 정액급식비, 자녀수당 등 다양한 수당에 대해서는 추후 글을 통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